맨위로가기

머턴 밀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머턴 밀러는 1923년 미국에서 태어나 2000년에 사망한 미국의 경제학자이다. 그는 기업 금융 이론의 권위자로서 프랑코 모딜리아니와 함께 모딜리아니-밀러 정리를 도출했다. 시카고 학파의 일원으로서 자유 시장 경제를 옹호했으며, 1990년 해리 마코위츠, 윌리엄 F. 샤프와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경영학자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경영학자 -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그리스계 해운업 거물의 아들로 MIT 미디어랩 공동 설립자이자 소장을 역임한 컴퓨터 과학자 니콜라스 네그로폰테는 "건축 기계" 개념 구상,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연구 선도, "데일리 미" 개념 제시, 『디지털의 미래』 저술, OLPC 프로젝트 주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나, MIT 미디어랩의 제프리 엡스타인 기금 수령 관련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금융경제학자 - 아모스 트버스키
    아모스 트버스키는 인지 편향 연구를 통해 인지과학과 행동경제학 발전에 기여한 이스라엘의 인지심리학자이자 수리심리학자이다.
  • 금융경제학자 - 대니얼 카너먼
    대니얼 카너먼은 1934년 텔아비브에서 태어난 심리학자이자 행동 경제학자로, 판단과 의사 결정에 대한 연구로 200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 3월에 사망했다.
  • 카네기 멜런 대학교 교수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카네기 멜런 대학교 교수 - 제프리 힌턴
    제프리 힌턴은 심층 신경망 연구의 선구자로서, 역전파 알고리즘 개선 및 효과적인 학습 방법 개발에 기여하여 튜링상을 수상하고 볼츠만 머신 공동 발명, t-SNE 시각화 기법 개발 등 다양한 신경망 연구에 기여했으며, AI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구글을 퇴사하고 존 호프필드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인지 심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이다.
머턴 밀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머턴 밀러
머턴 밀러
출생일1923년 5월 16일
출생지매사추세츠주 보스턴 (미국)
사망일2000년 6월 3일
사망지일리노이주 시카고 (미국)
국적미국
학문 분야
분야경제학
소속 기관카네기 멜론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출신 대학존스 홉킨스 대학교 (박사)
하버드 대학교 (석사)
사사프리츠 마클루프
제자유진 파마
마이클 젠슨
리처드 롤
마이론 숄즈
윌리엄 풀
학파시카고 학파
영향프리츠 마클루프
업적 및 수상
기여모딜리아니-밀러 정리
수상노벨 경제학상 (1990년)

2. 생애

1923년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태어나 2000년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밀러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주부인 실비아와 변호사인 조엘 밀러의 유대인 부모에게서 태어났다.[1][2] 그는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했다.[6]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재무부 세금 연구 부서에서 경제학자로 일했으며, 1952년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경제학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취득 후 첫 번째 학문적 임명은 런던 정경 대학교의 객원 조교수였다.


2. 2. 경력

머턴 밀러는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 재무부 세제 조사부에서 이코노미스트로 근무했다.[1] 그 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 객원 조교수를 역임했다.[1] 1953년 카네기 멜론 대학교 조교수가 되었다.[1] 1961년 시카고 대학교 부스 경영대학원 교수가 되었다.[1]

1958년, 카네기 공과대학교(현재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동료 프랑코 모딜리아니와 함께 "자본 비용, 기업 금융 및 투자 이론" 논문을 공동 저술했다.[1] 이 논문은 기업이 적절한 부채 대 자본 비율을 찾아 자본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기존 기업 금융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에 근본적인 이의를 제기했다.[1] 모딜리아니-밀러 정리에 따르면 적절한 비율은 없으므로, 기업 경영진은 세금 부채를 최소화하고 기업 순자산을 최대화해야 하며 부채 비율은 자연스럽게 결정되도록 해야 한다.[1]

이러한 결론에 도달한 방식은 "무 차익 거래" 논증, 즉 모든 시장 도구의 거래자가 위험 없는 돈벌이 기계를 만들 수 있는 상황은 거의 즉시 사라질 것이라는 전제를 활용했다.[1] 그들은 이후 수년간 그 전제에 기초한 많은 논쟁의 패턴을 설정했다.[1]

밀러는 8권의 저서를 단독 또는 공동으로 저술했다.[1] 1975년 계량 경제학회의 회원이 되었고 1976년 미국 금융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 1961년부터 1993년 은퇴할 때까지 시카고 대학교의 부스 경영대학원의 교수로 재직했으며, 그 후 몇 년 동안 학교에서 계속 강의했다.[1]

그의 연구는 "모딜리아니-밀러 금융 이론"의 기반을 형성했다.[1]

1983년부터 1985년까지 시카고 상품 거래소의 공공 이사로, 1990년부터 2000년 6월 3일 시카고에서 사망할 때까지 시카고 상업 거래소의 공공 이사로 재직했다.[1] 1993년, 밀러는 메탈게젤샤프트 자회사에서 일어난 20억달러 규모의 파생 상품 거래 손실과 관련하여, ''월스트리트 저널''에 기고하여 그 자회사의 경영진이 너무 일찍 공황 상태에 빠져 포지션을 청산한 것에 대해 비난했다.[1] 1995년, 밀러는 나스닥에 의해 가격 담합 혐의를 반박하도록 고용되었다.[1]

3. 학문적 업적

1958년 카네기 공과대학교(현재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프랑코 모딜리아니와 함께 "자본 비용, 기업 금융 및 투자 이론"이라는 논문을 공동 저술했다.[1] 이 논문은 기업이 적절한 부채 대 자본 비율을 찾아 자본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당시 기업 금융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에 근본적인 이의를 제기했다.[1] 이들은 "무 차익 거래" 논증, 즉 모든 시장 도구의 거래자가 위험 없는 돈벌이 기계를 만들 수 있는 상황은 거의 즉시 사라질 것이라는 전제를 활용하여 이러한 결론에 도달했으며, 이후 수년간 그 전제에 기초한 많은 논쟁의 패턴을 설정했다.[1]

밀러는 8권의 저서를 단독 또는 공동으로 저술했다.[1] 1975년 계량 경제학회의 회원이 되었고, 1976년 미국 금융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 1961년부터 1993년 은퇴할 때까지 시카고 대학교 부스 경영대학원 교수로 재직했으며, 그 후 몇 년 동안 학교에서 계속 강의했다.[1] 그의 연구는 "모딜리아니-밀러 금융 이론"의 기반을 형성했다.[1]

1983년부터 1985년까지 시카고 상품 거래소의 공공 이사로, 1990년부터 2000년 6월 3일 시카고에서 사망할 때까지 시카고 상업 거래소의 공공 이사로 재직했다.[1] 1993년, 밀러는 메탈게젤샤프트 자회사에서 일어난 20억달러 규모의 파생 상품 거래 손실과 관련하여, ''월스트리트 저널''에 기고하여 그 자회사의 경영진이 너무 일찍 공황 상태에 빠져 포지션을 청산한 것에 대해 비난했다.[1] 1995년, 나스닥에 의해 가격 담합 혐의를 반박하도록 고용되었다.[1]

3. 1. 모딜리아니-밀러 정리

1958년 카네기 공과대학교(현재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머턴 밀러는 동료 프랑코 모딜리아니와 함께 "자본 비용, 기업 금융 및 투자 이론"이라는 논문을 공동 저술했다. 이 논문은 기업이 적절한 부채 대 자본 비율을 찾아 자본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당시 기업 금융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에 근본적인 이의를 제기했다.[1] 모딜리아니-밀러 정리에 따르면, 적절한 비율은 없으므로 기업 경영진은 세금 부채를 최소화하고 기업 순자산을 최대화해야 하며, 부채 비율은 자연스럽게 결정되도록 해야 한다.[1]

이러한 결론은 "무 차익 거래" 논증, 즉 모든 시장 도구의 거래자가 위험 없는 돈벌이 기계를 만들 수 있는 상황은 거의 즉시 사라질 것이라는 전제를 활용하여 도달했다.[1] 이들은 이후 수년간 그 전제에 기초한 많은 논쟁의 패턴을 설정했다.[1]

머턴 밀러의 연구는 "모딜리아니-밀러 금융 이론"의 기반을 형성했다.[4] 스웨덴 왕립 과학원은 "기업 금융 이론의 권위자이며, 프랑코 모딜리아니와 함께 '모딜리아니-밀러 정리|모딜리아니-밀러 정리(MM 이론)'를 도출한 것을 평가했다"고 수상 이유를 밝혔다.[6]

3. 2. 기타 연구

1958년, 카네기 공과대학교(현재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동료 프랑코 모딜리아니와 함께 논문 "자본 비용, 기업 금융 및 투자 이론"을 공동 저술했다.[1] 이 논문은 기업이 적절한 부채 대 자본 비율을 찾아 자본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기존 기업 금융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에 근본적인 이의를 제기했다.[1] 반면, 모딜리아니-밀러 정리에 따르면 적절한 비율은 없으므로 기업 경영진은 세금 부채를 최소화하고 기업 순자산을 최대화해야 하며 부채 비율은 자연스럽게 결정되도록 해야 한다.[1]

이들은 "무 차익 거래" 논증, 즉 모든 시장 도구의 거래자가 위험 없는 돈벌이 기계를 만들 수 있는 상황은 거의 즉시 사라질 것이라는 전제를 활용하여 이러한 결론에 도달했다.[1] 이들은 이후 수년간 그 전제에 기초한 많은 논쟁의 패턴을 설정했다.[1]

밀러는 8권의 저서를 단독 또는 공동으로 저술했다.[1] 1975년 계량 경제학회의 회원이 되었고 1976년 미국 금융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 1961년부터 1993년 은퇴할 때까지 시카고 대학교 부스 경영대학원 교수로 재직했으며, 그 후 몇 년 동안 학교에서 계속 강의했다.[1]

그의 연구는 "모딜리아니-밀러 금융 이론"의 기반을 형성했다.[1]

1983년부터 1985년까지 시카고 상품 거래소의 공공 이사로, 1990년부터 2000년 6월 3일 시카고에서 사망할 때까지 시카고 상업 거래소의 공공 이사로 재직했다.[1] 1993년, 밀러는 메탈게젤샤프트 자회사에서 일어난 20억달러 규모의 파생 상품 거래 손실과 관련하여, ''월스트리트 저널''에 기고하여 그 자회사의 경영진이 너무 일찍 공황 상태에 빠져 포지션을 청산한 것에 대해 비난했다.[1] 1995년, 밀러는 나스닥에 의해 가격 담합 혐의를 반박하도록 고용되었다.[1]

4. 수상

Merton Miller영어1990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스웨덴 왕립 과학원은 Merton Miller영어가 기업 금융 이론의 권위자이며, 프랑코 모딜리아니와 함께 '모딜리아니-밀러 정리(MM 이론)'를 도출한 점과 주식 옵션과 다른 파생물의 가치 측정 공식을 개발한 공로를 높이 평가하여 수상 이유를 밝혔다.[1]

이 해의 노벨 경제학상은 Merton Miller영어를 포함하여 해리 마코위츠, 윌리엄 샤프 3명이 공동 수상했기 때문에, 상금 400만는 3등분되었다.[1]

5. 저서


  • 1958년 6월, 미국 경제 리뷰 48권 3호에 프랑코 모딜리아니와 공저한 논문 "자본 비용, 기업 금융 및 투자 이론" 발표. 261-297쪽.[1]
  • 1963년 6월, 미국 경제 리뷰 53권 3호에 프랑코 모딜리아니와 공저한 논문 "법인 소득세와 자본 비용, 수정" 발표. 433-443쪽.[2]
  • 1964년, 닐 C. 처칠, 로버트 M. 트루블러드와 공저, ''감사, 경영 게임 및 회계 교육''(R.D. Irwin).[3]
  • 1972년, 유진 파마와 공저, ''금융 이론''(Dryden Press).[4]
  • 1973년, 《합리적 옵션 평가 이론》.[5]
  • 1974년, 찰스 W. 업턴과 공저, ''거시 경제학: 신고전학적 입문''(R. D. Irwin).[6]
  • 1980년, R. H. 코스와 공저, ''응용 가격 이론 에세이''(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 1986년, 찰스 W. 업턴과 공저, ''거시경제학: 신고전학적 입문''(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 1990년, 《시연속 재정학》.
  • 1991년, ''금융 혁신과 시장 변동성''(블랙웰 출판사).
  • 1991년, ''머턴 밀러의 파생 상품''(존 와일리 & 선스).
  • 2001년, 사이토 하루히코 역, 『파생 상품이란 무엇인가』(동양경제신보사) 출간.
  • 1997년, ''사적 이익과 공익'' (그린 백).
  • 1999년, 크리스토퍼 L. 컬프와 공저, ''이론과 실제의 기업 헤지: 메탈게젤샤프트의 교훈''(Risk Books).
  • 2002년, ''머튼 H. 밀러 선집: 시장 찬가'', 2권,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참조

[1] 웹사이트 Merton H. Miller http://www.nndb.com/[...] 2008-09-18
[2]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Jewish history ABC-CLIO 2008
[3] 서적 A Financial History of Modern U.S. Corporate Scandals: From Enron to Reform https://books.google[...] M.E. Sharpe, Inc. 2017-10-26
[4] 뉴스 Nasdaq Hires Nobel Laureate to Help Fend Off Allegations https://www.latimes.[...] 1995-03-14
[5] 뉴스 Merton H. Miller, 77, Dies; Economist Who Won Nobel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2000-06-05
[6] 웹사이트 Merton H. Miller http://www.econlib.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